본문 바로가기
728x90

건강정보87

맛과 영양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장 보기 전 알아야 할 상식 장 보러 갈 때나 음식 만들 때 기억하면 새해를 건강하게 보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좋은' 음식, '나쁜' 음식에 초점을 두기보다 식단의 패턴을 생각한다. 이는 '00을 먹지 말아야 한다'는 목록이 아니라 각 개인의 호불호를 비롯 민족과 문화적 관행, 생활환경 등을 감안해 식단을 바꾸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예를 들어 파스타는 정제된 탄수화물이므로 먹지 말라고 권유하기보다, 식사 초반에 파스타를 먹는 이탈리아의 전통적 방식대로 적은 양을 섭취하라는 것. 2. 무엇을 먹느냐가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팬데믹 기간 중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많은 사람들이 아이스크림 페이스트리 피자 햄버거로 눈을 돌렸다. 그러나 '영양 정신의학'으로 알려진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거.. 2022. 1. 12.
손목터널증후군 운동법 (손가락 운동,손목 운동) ▶ 손목터널 증후군 운동법 각 동작은 천천히 시행하고, 가동범위는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시행한다. 각 동작별 5~10초간 정지 동작을 유지하고, 세트별 10회 반복하기를 하루 세 번씩 해준다. -손가락 운동 1. 손바닥을 편 다음 엄지손가락만 세운 채 나머지 네 손가락을 접었다 펴기를 반복한다. 네 손가락을 접을 때 손바닥에 닿지 않도록 네 손가락의 중간 마디까지만 접었다 펴준다. 2. 손바닥이 보이게 편 후 엄지손가락만 안에서 바깥으로 접었다 펴기를 반복한다. -손목 운동 1. 팔을 앞으로 쭉 뻗은 상태에서 손바닥을 바깥 방향으로 하여 세운 후 손목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손바닥을 내리기를 반복한다. 손을 올리고 내릴 때마다 손목을 몸 쪽으로 당겨준다. 2. 왼팔을 앞으로 내민 후 다른 손으로 손가락을 잡.. 2022. 1. 12.
주부뿐 아니라 직장인도 흔한 이 질환은 무엇 우리의 손가락은 요즘 쉴 새 없이 움직인다. 밥을 먹고, 컴퓨터로 일을 하고, 쉴 때마저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만지는 등 말 그대로 ‘휴식’을 취할 시간이 없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재택근무와 외출을 규제당하면서 전자기기를 만지는 시간은 더 늘어난다. 이렇게 전자기기 사용으로 손가락이 쉴 틈 없이 움직이면 손목에 무리가 간다. 이럴 때 생기는 질환이 바로 ‘손목터널 증후군’이다.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앓는 보통 손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그래서 이 질환을 주로 앓는 대표적인 대상은 주부들이었다. 걸레를 짜거나, 무거운 프라이팬을 들거나 하는 동작은 지속적으로 손목에 부담을 준다. 하지만 최근에는 평범한 직장인들에게도 이 손목터널 증후군.. 2022. 1. 12.
건강장수 비결 '하루 7,000보 걷기' 새해다. 코로나19가 계속 기승을 부리면서 ‘건강 지키기’가 최우선 과제다. 건강을 유지하는 비법은 ‘적절한 운동’과 ‘건강한 식단’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건강한 한 해를 보내기 위해 단번에 많은 것을 바꾸려면 실패하기 쉽다. 따라서 작은 것부터 꾸준히 실천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건강 유지를 위한 운동법과 건강한 식단을 알아본다. ▶하루 7,000보 걷기 운동은 워낙 종류가 다양하지만 비용ㆍ시간ㆍ기술 습득 등에서 가장 효율적인 운동이 바로 걷기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하루 평균 2,000보 걷는 것에 그쳐 건강 유지에 턱없이 부족하다. 그러면 얼마나 걸어야 할까. 지난해 미국 의사협회지(JAMA)에 실린 매사추세츠대 등 공동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38~50세 남녀 2,110명을 대상으로 .. 2022. 1. 12.
먹으면 행복해지는 음식 4가지 기분이 처진다 싶을 땐 푹 자야 한다. 땀을 흘리고, 좋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케이크나 아이스크림처럼 단 음식은 우울을 잊게 하지만 잠시 뿐이다. 짠 음식, 기름진 음식도 마찬가지. 기분은 다시 가라앉고, 그 정도는 음식을 먹기 전보다 더 심해지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뭘 먹어야 할까? 행복을 주는 음식 4가지를 소개하겠다. 1. 호박씨 아연과 마그네슘이 잔뜩 들어 있다. 면역 전문의 타즈 바티아 박사에 따르면 “아연과 마그네슘은 우리 기분을 좌우하는 영양소다.” 긴장을 풀고 고요하게 쉴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호박씨를 먹으면 행복 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분비도 왕성해진다. 2. 다크 초콜릿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음식. 먹으면 카카오 덕분에 스트레스가 사라진다. 마그네슘과 함께 항산화 성분이 풍부.. 2022. 1. 11.
우울할 땐 피해야 하는 식품 6가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겨울철 계절성 정서장애까지. 우울한 시기다. 우울한 기분이 들 땐 단 음식에 대한 욕구가 발생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겨울철 계절성 정서장애까지…. 우울한 시기다. 우울한 기분이 들 땐 단 음식에 대한 욕구가 발생한다. 그러나 달달한 음식은 순간의 쾌락을 제공할 뿐 종국에는 기분을 더 처지게 만든다, 단 음식 외에 우울할 때 당기지만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본다. 1. 술 적당한 술은 기분을 풀어준다. 그러나 과하면 잠을 망치게 된다. 수면 부족은 불안과 우울의 원인이다. 물론 술에 곯아떨어져 너무 많이 자는 것도 좋지 않다. 술을 마실 때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 여성은 하루 한 잔, 남성은 두 잔 이상 마시는 일이 없어야 한다... 2022. 1. 11.
728x90